비할로겐계 용제형 아크릴계 난연 점착제로 마이그레이션 현상이 생기지 않고 내후성이 뛰어난 난연을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점착제이다.
1. 일반성상 및 물성
구분
|
성상 및 물성
|
Test Methods
|
주성분
|
아크릴 Copolymer
|
-
|
외관
|
흰색 불투명 점조액
|
육안
|
점도(cps/25°C)
|
2,000±500
|
ASTM D-445
|
주용제
|
에틸 아세테이트
|
-
|
고형분(%)
|
55±1
|
ASTM D-1353
|
비중(20°C)
|
0.9328
|
ASTM D-4052
|
접착력(g/25mm)
|
1,400
|
ASTM D-3330
|
유지력(mm)
|
No creep
|
ASTM D-3654
|
Ball Tack(No)
|
18
|
ASTM D-3121
|
경화제 비율(점착제 : 경화제)
|
100 : 0.4
|
-
|
2. 특징 및 용도 * 속건성이며 Coating성이 우수하다. * 비할로겐계로 난연 점착제로 마이그레이션이 없고 내후성이 뛰어나다. * 광범위한 기재에 적용하며 다양한 물성을 낼 수 있다. * 이액형으로 설계되어 다양한 종류의 가교제와 반응성이 우수하며, 가교제 선정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낼 수 있다. * 난연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난연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Damping Material 류에 적용 가능하다. (예: PU Foam, EPDM Foam, PE Foam, EVA Foam) * 산업용으로 난연을 요구하는 있는 Tape류의 적용 가능하다. (예: 난연 양면테이프, 난연 PVC Sheet류 등)
|